QnA. Memory Paging과 Sementation 차이메모리 공간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페이징과 세그먼트가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페이징은 고정된 크기로 메모리 공간을 나누며, 세그멘테이션은 서로 다른 크기로 메모리 공간을 다룹니다.두 방식에서 생기는 내부 단편화, 외부 단편화 문제가 있으며, 세그멘테이션 방식에서 세그먼트 테이블에 세그먼트 번호, 시작 주소, 세그먼트 크기 정보를 가지고 있어 페이징 테이블보다 메모리 비용과 관리 비용이 높습니다. 가상 메모리란실제 물리적 메모리의 크기를 넘어서는 메모리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커니즘이다.(메모리에 로드된)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가상의 공간을 참조하여 더 큰 물리 메모리를 갖고 있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내가 실행하고자 ..
Both compilers and assemblers are the language processors used to convert software codes written in high-levl language and assembly language into machine language codes.컴파일러와 어셈블러는 기계가 읽을 수 있도록 처리해주는 언어 처리기이다. 컴파일러는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어셈블러는 어셈블리 언어를 기계어로 변환해준다.CompilerCompiler is used to translate a high level programming language code to machine level code and to create an executable program.컴파일러는 고급..
P323연습문제✔ 2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의 작업이 끝나기만 기다리며 작업을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교착 상태✔ 프로세스가 어떤 자원을 사용 중이고 어떤 자원을 기다리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방향성이 있는 그래프를 무엇이라 하는가?// 자원 할당 그래프✔ 네 가지 교착 상태 필요조건에 대해 설명하시오.// 상호 배제 - 한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자원은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할 수 없는 배타적인 자원이어야 한다. 비선점 - 한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자원은 다른 프로세스가 빼앗을 수없는 비선점 자원이어야 한다. 점유와 대기 - 프로세스가 어떤 자원을 할당받은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기다리는 상태여야 한다.원형 대기 - 점유와 대기를 하는 프로세스 간에 관계가 원(사이클)을 이루어야..
P287연습문제 ✔ 프로세스 간 통신에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 가능하지만 동시 전송은 불가능하고 특정 시점에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은 무엇인가?// 반양방향 통신 ✔ 상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반복문을 무한 실행하며 기다리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바쁜 대기 ✔ 프로세스 간 통신에서 대기가 없는 통신과 대기가 있는 통신의 예를 각각 제시하시오.// 대기가 없는 통신 : 전역 변수, 파일 대기가 있는 통신 : 파이프, 소켓 ✔ 파이프를 이용하여 통신할 때 파이프를 2개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파이프는 단방향 통신으로 두 프로세스 간에 통신할 때 한 파이프는 한 쪽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파이프를 하나 더 추가하여야 양측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