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2] 코드 N, M = map(int, input().split()) num_list = list(map(int, input().split())) num_list.sort(reverse=True) prev_sum = num_list[0] + num_list[1] + num_list[2] sum = 0 flag = False if prev_sum == M : print(prev_sum) else :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i+1, N): for k in range(j+1, N): sum = num_list[i] + num_list[j] + num_list[k] if (M - sum) < 0: continue if (M - prev_sum) < 0: if ..
( 도움을 받은 블로그 = https://study-all-night.tistory.com/5 :) [1] 문제[2] 결과[3] 코드# 재귀함수def draw_star(n): global Map if n == 3 : Map[0][:] = Map[2][:] = [1] * 3 Map[1][:] = [1, 0, 1] return a = n//3 draw_star(n//3) for i in range(3): for j in range(3): if i == 1 and j == 1 : continue for k in range(a): Map[a*i+k][a*j:a*(j+1)] = Map[k][:a] # 3의 거듭제곱수 입력N = ..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with 파이썬 참고자료 선택정렬 데이터가 무작위로 여러개 있을 때, 이 중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맨 앞에 있는 데이터와 바꾸고, 그다음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앞에서 두 번째 데이터와 바꾸는 과정을 반복한다. array = [7,5,9,0,3,1,6,2,4,8] for i in range(len(array)): # 첫 번째 위치부터 작은 데이터 순으로 정렬시킨다 min_index = i for j in range(i+1, len(array)): if array[min_index] > array[j]: min_index = j array[i], array[min_index] = array[min_index], array[i] print(array) 삽입정렬 특정한 데이터가 적절..
두 원의 교점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 코드 import math t = int(input()) for _ in range(t): x1,y1,r1,x2,y2,r2 = map(int,input().split()) distance = math.sqrt((x1-x2)**2 + (y1-y2)**2) if distance == 0 and r1 == r2 : print(-1) elif abs(r1-r2) < distance < r1+r2 : print(2) elif distance == r1+r2 or distance == abs(r1-r2) : print(1) else: print(0) import math math.sqrt() 는 제곱근을 구해주는 함수이다. abs()는 절대값을 구해주는 함수 (1) 위치의 개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