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CS/Database

[DB] 데이터 베이스 무결성 제약조건 유지 - 삽입, 삭제, 수정

목차 1. 데이터 베이스 무결성 제약 조건 유지 2. 삽입 연산 3. 삭제 연산 4. 수정 연산 (1) 무결성 제약조건의 유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갱신 연산의 수행 결과에 따라서 무결성 제약조건이 위배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DBMS는 외래키가 갱신되거나, 참조된 기본키가 갱신되었을 때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이 위배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2) 삽입 연산 참조되는 릴레이션에 새로운 투플이 삽입되면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은 위배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참조하는 릴레이션의 기존 투플들은 참조되는 릴레이션에 추가되는 투플과 연관이 없다. 그러나 릴레이션의 기본키인 속성의 값이 기존의 값과 동일한 값이 삽입되면 기본키 제약조건을 위배하게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참조되는 릴레이션에 기본키의 값으로 NULL값으로 ..

CS/Database

[DB] 데이터 베이스 무결성 제약조건 : 도메인,키,기본키,엔티티,참조 무결성 제약조건 알아보기

(1) 무결성 제약조건이란 데이터 무결성이란 데이터의 정확성 또는 유효성을 의미합니다. 일관된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정의하는 규칙들을 묵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갱신이 일관성을 깨지 않도록 보장하는 수단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무결성 제약조건의 장점 스키마를 정의할 때 일관성 조건을 오직 한 번만 명시하고,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 때 DBMS가 자동적으로 일관성 조건을 검사하므로 응용 프로그램들은 일관성 조건을 검사할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에, 응용 프로그램에서 무결성 제약조건을 유지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 프로그래밍 작업이 훨씬 복잡해지고, 무결성 제약조건을 반복해서 구현해야 하고, 무결성 제약조건들 간에 서로 충돌이 발생할 수 도 있..

CS/Database

[DB] 파일 시스템과 DBMS의 차이 - 데이터 관리 시스템

목차 1. 파일 시스템이란 2. 파일 시스템의 단점 3. DBMS를 사용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4. DBMS의 장점 5. 파일 시스템과 DBMS 비교 1. 파일 시스템을 사용한 데이터 관리 파일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순차적인 레코드들이다. 한 레코드는 연관된 필드들의 모임이다. * 파일 시스템에서는 정보를 운영 체제의 파일에 저장한다. * 일반적으로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마다 별도의 파일을 유지한다. * 파일을 접근하는 방식이 응용 프로그램 내에 상세하게 표현되므로, 데이터에 대한 응용 프로그램의 의존도가 높다. => 대부분의 경우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파일이 1:1로 대응되는 특징이 있다. 1.2 파일 시스템의 단점 * 데이터가 많은 파일에 중복해서 저장된다. : 중복된 데이터의 변경을 제어하는 것이 어..

CS/Database

[DB] 데이터베이스 개념, 특징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목차 1. 데이터베이스란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3.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4.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요구사항 1.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베이스는 조직체의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해서 사용하는 운영 데이터들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모임이다. 간단히, 다수 사용자 / 다수 프로그램들이 공유해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모임이라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database) * 어떤 조직체에 관련된 사실들을 수집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 일반적으로 다수 사용자 / 다수 응용 프로그램들이 공유하기 위해 설계됩니다. * 한 조직체의 어떤 영역과 연관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조직하며 이는 여러 수준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쓰입니다. 데이터 베이스가 필요로 하는 환경 데이터의 양이 방대해야 한다. 데..

kylo
'CS' 카테고리의 글 목록 (7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