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베이스 설계란미리 정의된 응용들의 모임을 위해서 조직체의 사용자들의 정보 요구를 수용하여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구조와 물리적인 구조를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한 조직체의 운영과 목적을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주요 목적은 모든 주요 응용과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데이터, 데이터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2가지로 구분된다.[ 1. 개념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 실제로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와는 독립적으로 정보 사용의 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개념적인 구조를 다룬다.) 개념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조직체의 엔티티, 관계, 프로세스, 무결성 제약조건 등을 나타내는 추상화 모델을 구축한다. ( ER 모델 )데이터베이스 구조나..
목차 1. fork() 시스템 호출이란 2. fork() 시스템 호출의 동작 과정 3. fork() 함수의 장점 및 예시 4. exec() 시스템 호출이란 5. exec() 시스템 호출의 동작 과정 6. exec() 함수의 장점 및 예시 (1) fork() 시스템 호출 fork() 시스템 호출은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복사하는 함수입니다. 실행하던 프로세스는 부모프로세스가 되고, 새로 생긴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가 되어 부모-자식 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프로세스 제어 블록을 포함한 부모 프로세스의 영역의 대부분이 자식 프로세스에 복사됩니다. 단, 프로세스 구분자, 메모리 관련 정보, 부모 프로세스 구분자와 자식 프로세스 구분자는 복사 되지 않고 서로 다른 정보를 가지게 됩니다. (2) fork() 동작 ..
목차 1. 데이터 베이스 무결성 제약 조건 유지 2. 삽입 연산 3. 삭제 연산 4. 수정 연산 (1) 무결성 제약조건의 유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갱신 연산의 수행 결과에 따라서 무결성 제약조건이 위배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DBMS는 외래키가 갱신되거나, 참조된 기본키가 갱신되었을 때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이 위배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2) 삽입 연산 참조되는 릴레이션에 새로운 투플이 삽입되면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은 위배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참조하는 릴레이션의 기존 투플들은 참조되는 릴레이션에 추가되는 투플과 연관이 없다. 그러나 릴레이션의 기본키인 속성의 값이 기존의 값과 동일한 값이 삽입되면 기본키 제약조건을 위배하게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참조되는 릴레이션에 기본키의 값으로 NULL값으로 ..
(1) 무결성 제약조건이란데이터 무결성이란 데이터의 정확성 또는 유효성을 의미합니다.일관된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정의하는 규칙들을 묵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목적입니다.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갱신이 일관성을 깨지 않도록 보장하는 수단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무결성 제약조건의 장점스키마를 정의할 때 일관성 조건을 오직 한 번만 명시하고,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 때 DBMS가 자동적으로 일관성 조건을 검사하므로 응용 프로그램들은 일관성 조건을 검사할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에, 응용 프로그램에서 무결성 제약조건을 유지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프로그래밍 작업이 훨씬 복잡해지고, 무결성 제약조건을 반복해서 구현해야 하고, 무결성 제약조건들 간에 서로 충돌이 발생할 수 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