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TTP 프로토콜이란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약자로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특징(Stateless)이 있다. 일반적인 REST 통신 방법이 HTTP 기반 통신 방법이다. 특징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Stateless 특징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 인증을 위해 쿠키, 세션, JWT 토큰 방식을 사용한다. 2. HTTPS란HTTPS는 내가 사이트에 보내는 정보들을 제 3자가 못 보게 하고, 접속한 사이트가 믿을 만한 곳인지 알려주며, HTTP 보다 보안이 강화된 프로토콜이다. 💬 어떻게?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생성한 난수를 통해 Secret Key를 만들어 대칭키 암복호화를 진행한다.Secret Key를 생성하..
코틀린을 공부하면서 자바와 의존성 주입 차이가 약간 다른 거 같아서, 이번 글을 통해 제대로 정리하고자 합니다.코틀린이 자바보다 간결하게 처리가 가능하다고 말로만 들었는데, 의존성 주입부터 간결해지는 거 같다..의존성 주입 방법은 제일 많이 사용하는 생성자 주입을 기준으로만 작성하겠습니다. (가장 흔히 쓰고, 안전한 방식)Java 생성자 주입@RestController@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private final HelloService helloService;}자바에서는 @RequiredArgsConstructor와 private final 빈 클래스 선언을 통해 간단하게 생성자 주입을 처리합니다. @RestControll..
문제 위 문제는 탈출할 수 있는 최단 거리를 구하는 문제인데, 2차원 배열이 아닌 3차원 배열을 통해 BFS 탐색을 진행해야 한다.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를 받아 최단 거리를 출력해야 하므로, 무한 루프와 break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해줘야 한다.코드from collections import dequeimport sysinput = sys.stdin.readline# 남북서동 상하dx = [-1, 1, 0, 0, 0, 0]dy = [0, 0, -1, 1, 0, 0]dz = [0, 0, 0, 0, -1, 1]while True: L, R, C = map(int, input().split()) if L == 0 and R == 0 and C == 0: break start = None b..
복합 인덱스 알아보기복합 인덱스는 단어 그대로 여러 개의 컬럼 조합으로 생성된 인덱스이다.(idx_col1, idx_col2) 에 대해 인덱스를 설정하면, 명시한 컬럼 순서대로 인덱스가 정렬됩니다.B+ Tree 구조를 만들 때 idx_col1 컬럼에 대해 먼저 정렬을 하고, 동일한 값이 있다면 idx_col2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인덱스를 관리합니다.복합 인덱스 구조를 보면 첫 번째 컬럼을 먼저 조회하고 그다음에 두 번째 컬럼을 조회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인덱스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순서에 맞게 Query를 구성해야 합니다.만약, idx_col2를 먼저 탐색하고 idx_col1을 탐색하게 where 조건문을 설정했다면, 올바르게 인덱스 탐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CR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