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ialize직렬화는 객체를 바이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Serialization is the process of converting an object’s state to a byte stream. Serialization allows us to save the data associated with an object and recreate the object in a new location Serialization FormatJSON, XML, Binary 등 다양한 포맷으로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 (JSON, XML은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여서 현재 자주 사용되는 포맷입니다.) 스프링에서는 Jackson을 통해 간편하게 객체 → JSON 형태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해 줍니다. ..
Segment와 Packet 정보 차이결론Segment는 전송 계층에서 다루는 데이터 단위Packet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다루는 데이터 단위1.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보냅니다. (웹 요청)2. 전송 계층에서 TCP/UDP가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나눕니다.2-1. TCP의 경우 데이터 흐름 제어, 오류 검출 등을 위한 헤더를 추가합니다.3. 네트워크 계층에서 IP가 Segment를 감싸고 목적지 주소를 추가합니다.3-1. IP 헤더를 추가하여 Packet을 생성합니다.4.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Internet Layer3계층은 (네트워크 계층, Internet Layer, Packet) 데이터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전달될 수 있도록 경로를 결정하고 (IP 주소 기반) 패킷을 라우팅 하는 ..
1. HTTP 프로토콜이란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약자로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특징(Stateless)이 있다. 일반적인 REST 통신 방법이 HTTP 기반 통신 방법이다. 특징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Stateless 특징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 인증을 위해 쿠키, 세션, JWT 토큰 방식을 사용한다. 2. HTTPS란HTTPS는 내가 사이트에 보내는 정보들을 제 3자가 못 보게 하고, 접속한 사이트가 믿을 만한 곳인지 알려주며, HTTP 보다 보안이 강화된 프로토콜이다. 💬 어떻게?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생성한 난수를 통해 Secret Key를 만들어 대칭키 암복호화를 진행한다.Secret Key를 생성하..
HTTP 간단한 설명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로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HTTP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은 TCP 세션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Application 계층에 속함)HTTP/1.0HTML 문서만 날리는 HTTP/0.9와 다르게 다양한 파일(css, image)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세부 설명매번 새로운 연결로 성능 저하하나의 데이터를 받을 때마다 서버 측에서 연결을 끊습니다.요청마다 TCP 세션을 맺어야 합니다.서버 부하 비용 상승RTT 증가 :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고, 다시 출발지로 돌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입니다. (패킷 왕복 시간)HTTP 1.0은 기본적으로 Connection 당 하나의 요청을 처리합니다.동시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