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

Infra/Docker

[Docker] Docker run, cmd, entrypoint 차이 이해하기

Docker Best Practices Choosing Between RUN, CMD and ENTRYPOINT도커 이미지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가 여러 가지 있는데 해당 명령어들을 각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run, cmd, entrypoint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며, 어느 상황에 사용하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Multiple methods are available to accomplish similar tasks, and users must understand the pros and cons of the available options to choose the best approach for their projects.One Confusing area concerns ..

Infra/Kubernetes

[K8S] Kubernetes Job, CronJob 이해 및 활용법

JobBatch 처리에 적합한 컨트롤러로 Pod의 성공적인 완료를 보장합니다.비정상 종료 시 다시 실행정상 종료 시 완료Kubernetes는 Pod를 Running 중인 상태로 유지합니다.-> Job을 통해 Batch 처리하는 pod는 작업이 완료되면 종료됩니다.pod가 종료될 뿐 삭제되지는 않는다.Non-parallel, parallelNon-parallel하나의 파드만 실행됩니다.Pod가 성공적으로 종료하자마자 즉시 Job이 완료됩니다.고정적인 완료 횟수를 가진 Parallel Job.spec.completions에 양수 값을 지정합니다.Job은 전체 작업을 나타내며, completions 만큼 성공한 파드가 있을 때 완료됩니다.작업 큐가 있는 Parallel Job.spec.parallelism 을..

Infra/Kafka

[Kafka] Docker Compose를 통해 Kafka 구축하기 - Kraft 모드

Kafka 3개의 Broker 환경 구축하기 - Kraft ModeDocker compose를 통해 Kafka 환경을 구축하려고 합니다.Kraft ModeZoopkeeper가 아닌 Kraft 모드로 3개의 Broker 구축NetworkKafka 서비스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도커 네트워크를 설정합니다. (kafka_network)VolumeKafka 서비스의 데이터 저장을 위해 각 Broker 별로 도커 볼륨을 설정합니다. (Kafka00, Kafka01, Kafka02)Kafka Kraft 모드란KRaft(Kafka Raft) 모드는 기존의 ZooKeeper에 의존하던 Kafka의 메타데이터 관리를 Kafka 자체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새로운 아키텍처입니다. KRaft 모드는 Kafka 2...

Infra/Kafka

[Kafka] Kafka 개념 이해하기, Producer, Consumer, Broker

Kafka란대규모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을 처리하고 관리하는 분산 이벤트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링크드인(LinkedIn)에서 개발되었으며, 현재 오픈 소스로 제공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사용 사례로그 및 메트릭 수집대규모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로그와 메트릭 데이터를 카프카에 전송하여 중앙에서 실시간으로 수집, 처리, 분석실시간 데이터 파이프라인데이터를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에 사용됩니다.실시간 스트리밍 분석금융 거래, IoT 센서 데이터 등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메시지 큐서로 독립적인 서비스 간의 메시지 교환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벤트 스트리밍 플랫폼이란이벤트 스트리밍 플랫폼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고 처리..